집드림

각종 정책, 부동산, 유용한 정보 등에 대해서 작성을 하는 블로그입니다.

  • 2025. 4. 17.

    by. big-dream

     

    목차

    1. 청년내일저축계좌란?

    2. 2025년 변경사항 요약

    3. 가입 조건 한눈에 보기

    4.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지원금 구조 정리)

    5. 신청 방법 및 절차

    6. 적립중지 제도 – 군입대, 출산 시 유용한 팁

    7. 교육 이수는 필수! 자립역량교육 & 금융특화서비스

    8. 자주 묻는 질문(FAQ)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일하는 청년이 자산을 형성하고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2025년 기준으로 월 10만원 저축 시 최대 1,440만 원(3년 기준)의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지원 대상은 중위소득 100% 이하의 만 19~34세 청년입니다.

     

     2025년부터는 근속 기간에 따라 정부지원금이 점진적으로 늘어나고, 군입대나 출산 등 특별한 사유로 최대 2년까지 적립중지가 가능해졌습니다.

     

    청년 금융특화서비스 교육을 통해 재무 상담자산 설계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이 제도는 청년들이 자립 기반을 다지고 미래에 대한 경제적 안정을 갖추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입니다.

     

    2025 청년내일저축계좌 일정, 신청 기간, 조건, 혜택, 가입 방법

     

    1. 청년내일저축계좌란?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정부가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돕기 위해 만든 국가 지원 통장입니다.

     

    월 10만 원을 3년간 저축하면, 정부가 매달 10만~30만 원까지 추가로 지원해줘서 최대 1,440만 원 + 이자를 만들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1-1. 왜 필요한가요?

     

    • “사회 초년생인데 목돈 마련이 너무 어려워요.”
    • “적금은 넣고 싶은데 장려금이나 혜택은 없나요?”

    👉 이런 분들을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2. 2025년 변경사항 요약

     

    변경 항목 2024년 2025년 변경 내용
    정부지원금 연차와 무관, 월 10만 원 지원 1년차 10만, 2년차 20만, 3년차 30만 지원
    적립중지 가능 사유 일부만 인정 군입대, 출산, 육아휴직 시 2년 적립중지 가능
    금융교육 동영상 강의 청년 금융특화서비스(1:1 상담 포함) 신설

     

     

    정부지원금 차등 확대

    • 1년차 월 10만 원 → 2년차 20만 원 → 3년차 30만 원
      👉 총 최대 1,440만 원까지 가능!

     

    적립중지 제도 도입

    • 군입대, 출산, 육아휴직 시 최대 2년까지 저축 잠시 멈출 수 있어요.
      👉 가입기간은 연장되지만, 정부지원금은 최대 3년만 지원

     

    청년 금융특화서비스 신설

    • 1:1 재무 상담, 자산 설계, 맞춤형 교육까지 제공
      👉 실질적인 자산관리 능력 향상 지원

     

     

    3. 가입 조건 한눈에 보기

     

    3-1. 연령 요건

    조건 가입 가능 연령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만 15세 이상 ~ 만 39세 이하
    기준 중위소득 50~100% 이하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

     

    ※ 신청 월 기준 생일이 포함되면 해당됩니다.

     

     

    3-2. 소득 및 근로 기준

     

    항목 조건
    월 소득 50만 원 초과 ~ 250만 원 이하
    근로 여부 실제 근로 중일 것 (근로장학금, 실업급여 제외)
    가구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 일하면서 일정 소득이 있는 청년이라면 대부분 신청 가능해요!

     

    아래 표를 기준으로 자신이 속한 가구 수와 월 소득을 비교해 보시면 됩니다.


    가입 기준(50%) 이하여야 신청 가능하며, 가입 후에는 소득상한 이하를 유지해야 합니다.

     

     

    📌 2025년 기준 중위소득, 가입 및 유지기준 (단위: 원/월)

     

    소득세 구간표

    가구원 수 기준 중위소득 가입 기준 (50%) 유지 기준 (소득상한)
    1인 가구 2,392,013원 1,196,007원 5,025,353원
    2인 가구 3,932,686원 1,966,329원 5,025,353원
    3인 가구 5,025,353원 2,512,677원 5,025,353원
    4인 가구 6,097,773원 3,048,887원 6,097,773원
    5인 가구 7,108,192원 3,554,096원 7,108,192원
    6인 가구 8,064,805원 4,032,403원 8,064,805원
    7인 가구 8,988,428원 4,494,214원 8,988,428원

     

     주의사항:

    • 소득은 근로·사업소득만 인정됩니다.
    • 실업급여, 무급 인턴, 장학금 등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 가구원 전체 합산 소득이 기준입니다.

     

    4.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지원금 구조 정리)

     

    청년내일저축계좌는 본인이 월 10만 원씩 3년간 저축하면 정부가 매년 더 큰 금액을 매칭 지원해주는 제도예요.

     

    연차 본인 저축금 정부 매칭금 연간 총액 3년 누적 총액
    1년차 120만 원 120만 원 240만 원 1,440만 원 + 이자
    2년차 120만 원 240만 원 360만 원
    3년차 120만 원 360만 원 480만 원

     

    ※ 매달 10만 원씩 저축 시 기준입니다.

     

    • 총 360만 원 저축하면 → 정부가 720만 원 매칭 + 이자
    • 월 최대 3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어요 (3년차 기준)
    • 총 1,440만 원 이상 자산 형성이 가능합니다!

     

     

    5. 신청 방법 및 절차

     

    5-1. 신청 절차 및 방법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은 연 2회 진행되며, 주소지 관할 행정복지센터 또는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접수할 수 있습니다.

     

    📍 신청 가능 시기

    • 2025년 상반기, 하반기 2회 공고
    • 모집 일정은 지자체별 상이하므로 반드시 관할 지자체 홈페이지 또는 복지로 공고 확인 필요

     

    📍 신청 절차 

     

    • 1) 모집 공고 확인
      - 복지로(www.bokjiro.go.kr) 또는 시·군·구청 홈페이지 공고 확인
      - 모집 인원, 접수 기간, 방법 등 확인

     

    복지로 바로가기

     

     

    • 2) 온라인 또는 방문 신청
      - 온라인: 복지로 홈페이지 내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메뉴
      - 오프라인: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 방문 접수

     

    • 3) 자격 심사 및 소득 조사
      - 보건복지부, 국민건강보험공단 등을 통해 가구원 소득 및 재산 조사 진행
      - 약 1~2개월 소요

     

    • 4) 가입 통보 및 계좌 개설 안내
      - 문자 또는 유선 통보
      - 가입 확정 후 지정된 금융기관(농협, 신한은행 등)에 통장 개설

     

    • 5) 첫 저축 개시 및 자립역량교육 이수
      - 통장 개설 후 월 10만 원 이상 저축 시작
      - 3개월 이내 자립역량교육 필수 이수

     

     

    5-2. 신청 서류 및 자주 묻는 질문

     

    🧾 신청 시 필요 서류

    구분 제출 서류 예시
    기본 서류 신분증, 가족관계증명서
    소득 증빙 재직증명서, 근로계약서, 소득금액증명원 등
    특별 사유 (선택) 입영통지서, 육아휴직확인서, 퇴직증명서 등
    금융기관 통장개설용 통장사본, 주민등록증 등 (금융기관별 상이)

    ※ 서류 누락 시 심사 반려될 수 있으므로 미리 준비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 자주 묻는 질문 (신청 관련)

     

    Q. 온라인 신청과 방문 신청 중 뭐가 더 빠른가요?


    👉 서류가 준비되어 있다면 온라인 신청이 간편하지만, 서류 스캔 및 업로드가 어려우면 방문이 더 확실합니다.

     

    Q. 직장인이 아닌데 신청 가능한가요?


    👉 실질 소득(근로·사업소득)이 있다면 아르바이트, 프리랜서도 신청 가능합니다. 단, 근로 입증 서류는 꼭 필요합니다.

     

    Q. 부모님과 주소가 다른데 가구 기준은 어떻게 적용되나요?


    👉 주민등록상 분리되어 있어도 실제 부양 여부에 따라 가구원에 포함될 수 있으므로, 행복e음 소득조사 기준을 따르게 됩니다.

     

     

     

    6. 적립중지 제도 – 군입대, 출산 시 유용한 팁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사유가 있을 경우 최대 2년까지 적립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구분 가능 여부 조건
    군입대 가능 입영통지서 제출 → 가입기간 5년 연장
    출산/육아휴직 가능 육아휴직증명서 또는 퇴직서류 필요
    중도 해지 일부 가능 미납 12개월 이상 시 해지 대상될 수 있음

     

     

     

    7. 교육 이수는 필수! 자립역량교육 & 금융특화서비스

     

    모든 가입자는 반드시 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

     

    • 자립역량교육: 영상 강의 또는 집합교육

     

    • 청년 금융특화서비스(2025년 신설) :
      • 기초 금융교육
      • 나만의 재무설계
      • 1:1 금융 컨설팅
      • 교육 완료 시 혜택 지급 가능

     

     

    8. 자주 묻는 질문(FAQ)

     

    Q1. 중복으로 다른 자산형성 통장에 가입했어요. 청년내일저축계좌도 신청 가능한가요?

    👉 대부분 중복 불가합니다.

     

    • 불가: 희망두배청년통장, 청년희망키움통장, 청년재직자내일채움공제 등 41개 사업
    • 가능: 디딤씨앗통장, 청년내일채움공재(23년 신규가입자부터 가능), 꿈나래통장,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한부모가정 자산형성지원사업, 채무조정 미취업청년 자산형성지원사업, 자립준비청년(보호종료아동) 자산형성지원사업, 행복더하기(북향민 자산형성지원사업), 목돈마련응원매칭, 청년목돈마련 응원매칭

     

    Q2. 가구에 청년이 2명 이상 있어요. 둘 다 가입 가능한가요?

    👉 가능합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는 가구원 수에 상관없이, 자격을 갖춘 청년이면 각각 개별로 가입할 수 있어요.

     

    Q3. 군대 가야 되는데 중도 해지되나요?

    👉 해지 안 됩니다.

     

    • 입영통지서 등 증빙 제출 시, 최대 2년까지 적립 중지 가능
    • 적립 중지 기간은 정부지원금 매칭 없음, 가입 기간은 연장됨

     

    Q4. 매달 10만 원 저축이 부담스러워요. 적게 넣으면 안 되나요?

    👉 가능하지만 유의사항이 있습니다.

     

    • 10만 원 미만 저축도 가능하지만 정부지원금은 동일하게 지급되지 않음
    • 12개월 이상 미납 시 자동 해지될 수 있으므로 주의!

     

    Q5. 부모님과 주민등록이 따로 돼 있어요. 가구 소득은 어떻게 계산되나요?

    👉 실제 생계 또는 실질 부양 여부에 따라 가구로 판단됩니다.


    주민등록이 분리되어 있어도 행복e음 시스템의 소득조사 기준에 따라 가구원으로 포함될 수 있어요.

     

    Q6. 아르바이트생인데도 신청할 수 있나요?

    👉 네!

     

    • 아르바이트, 프리랜서, 플랫폼 노동자 등도 신청 가능
    • 단, 반드시 근로 사실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가 필요합니다
      (근로계약서, 급여명세서, 입금내역 등)

     

    청년내일저축계좌는 단순한 통장이 아닙니다.


    정부가 청년의 자산 형성과 자립을 응원하기 위해 마련한 실질적 제도입니다.

     

    ✔ 월 10만 원 저축으로 최대 1,440만 원 + 이자 수령 가능
    ✔ 신청 자격만 충족하면 누구나 가능
    ✔ 교육·재무상담까지 포함된 종합 자립 패키지

     

    미래를 위한 첫 저축을 고민하고 있다면,
    2025년 달라진 청년내일저축계좌가 가장 좋은 출발점이 될 수 있습니다.

     

     신청 시기 놓치지 마시고,  가족이나 친구에게도 공유해서 함께 준비해보세요!